Cloud System Engineer

리눅스마스터 1급 백업 명령어 모음 본문

리눅스/centos

리눅스마스터 1급 백업 명령어 모음

클라우드 엔지니어 2021. 10. 3. 20:08

시스템 백업

IT 서비스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복구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백업 시스템 구축이 필수 적임.

 

백업 전략 조건

1.     디바이스 오류 ,바이러스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 등 다양한 데이터손실로부터 복구가 가능 해야함.

2.     장애가 발생하기 이전에 정상적으로 동작했던 상태로 복구가 가능 해야함

3.     최소한 노력,비용,데이터 손실만 허용해야 한다.

4.     사람의 관리를 최소화 하는 자동화 또는 반 자동화된 백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백업의 종류는 전체백업, 증분 백업, 차등백업이 있다.

 

-전체 백업:전체 시스템 저장 디바이스를 백업해야 하는 시스템

-증분 백업:변경된 데이터만 백업  해야함. 단 전체백업과 변경된 데이터 모두가 있어야 복원 가능함.

-차등 백업:증분 백업과 비슷하지만, 지난 백업에 이번 변경 데이터를 누적하여 백업 데이터를 생성함. 전체 백업 데이터와 가장 최근 백업데이터만 있어야 복원가능

 

파일의 백업 명령어

tar :명령어는 여러파일을 모아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하거나 반대로 아카이브 파일을 원래대로 추출하는 명령어임

-c:아카이브 생성

-v: 상세정보출력

r-f 아카이브 파일명지정

–p 접근제한 /path/to/dir의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묶어 acrchive.tat.gz를 생성함

tar -cvfp archive.tar /path/to/dir

ex) tar -xvf : archive.tar.gz을 현재 디렉터리에 복원한다.

 

dump: 주로 파티션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ex) dump [option] [backup device] [backup file or device]

옵션 – 0~9 레벨을 지정하고 0단계:전체백업 1단계부터는 부분 백업을 의미함

-f:백업할 장치나 파일을 지정함

Ex)

dump -0f /dev/sda /home: /home 디렉터리 전체를 /dev/sda 이라는 장치에 백업한다.

 

dd: 지정한 장치를 지정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명령어다. 파티션이나 디스크 단위로 백업 용도로 사용됨 또는 CD 장치에서 ISO 이미지를 추출할 때 사용된다.

dd [option]

dd if=dev/sda1 of=/dev/sdb1 bs=1K

/dev/sda1 장치를 /dev/sdb1 장치로 백업한다. 블록크기는 1K로 지정함

 

RESTORE

dump 명령으로 생성한 백업 파일을 복원할 때 사용함

restore [option] backup_name

-i 대화모드

-f 복원할 파일지정

-r 파일시스템을 복원함

restore -rf backup.dump :-backup.dump 파일을 복원한다.

 

네트워크 백업

rsync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모트 컴퓨터의 파일들을 동기화하는 도구이며 속도가 빠르다.

 

rsync [option] source destination

-r 지정한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 및 하위 디렉터리까지 복사함

-a 여러 파일을 아카이브 모드로 동작함

-v 파일 복사과정을 나타냄

-z 파일을 전송할 때 데이터를 압축해서 보낸다.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ex)

reync -avz /home root:index.html/

/home 모든 파일속서까지 원격지 root 호스트의 index.html 에 복사한다.

파일을 전송하는사이 압축해서보낸다.

 

'리눅스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셸 스크립트  (0) 2021.10.11
리눅스마스터 1급 사용자 관리 명령어  (0) 2021.10.05
kvm  (0) 2021.03.17
보안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0) 2021.02.24
클라우드 서비스  (0)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