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System Engineer

디스턴스 벡터 , 링크 스테이트 본문

네트워크/네트워크 입문

디스턴스 벡터 , 링크 스테이트

클라우드 엔지니어 2021. 9. 3. 17:45

디스턴스 벡터 , 링크 스테이트 

디스턴스 벡터 알고리즘은 말 그대로 거리와 방향만 위주로 만들어진 라우팅 알고리즘이다. 

라우터는 모든 경로를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는데,  

이 라우터는 목적지까지 거리(홉 카운트) , 목적지 까지 가려면 인접 라우터를 거져야하는 방향만을 저장한다. 

따라서 인접 라우터들과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해서 자신의 정보에 변화가 생겼는지 확인하고 관리한다. (RIP은 30초에 한번 확인함) 

 

디스턴스 벡터 알고리즘은 한 라우터가 모든 라우팅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때문에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트래픽이 없고 라우팅 테이블에 변화가 생길 경우 모든 라우터가 알때까지 걸리는 시간 

Convergence time이 느리다.  

 

 

 

 

 

 

 

이렇게 느린 업데이트 때문에 RIP 같은경우는 최대 홉 카운트가 15를 넘지못하게 된다. 

즉 15개 라우터 이상이면 네트워크 인식을 못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링크 스테이트 알고리즘은 한 라우터에서 목적지까지 모든 경로를 알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변화가 생겨도 알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라우터들과 테이블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모든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는 디스턴스 벡터 방식과는 

달리 라우팅 테이블의 교환이 자주발생하지않기때문에 트래픽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링크 스테이트는 라우터가 모든 경로를 관리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소모하고  

SPF 계산등 CPU가 일을 많이 한다. 

 

SPF: 어디로 가야 가장 빨리갈 수 있는지 계산 

 

따라서 링크스테이트 알고리즘은 대형망 네트워크에 쓰인다. 

대표적인게 OSPF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동작의 원리와 HTTP 프로토콜  (0) 2021.10.05
네트워크 라우팅  (0) 2021.09.01
이론 복습  (0) 2021.08.31
라우팅 개요  (0) 2021.02.23
네트워크 장비  (0) 202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