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docker
도커 볼륨
클라우드 엔지니어
2021. 1. 29. 21:27
도커 자체에서 제공하는 볼륨 기능을 사용해 보자!
# docker volume create --name myvolume
myvolume 이라는 볼륨을 사용하는 컨테이너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생성해 보자
형식은
[볼륨의 이름]:[컨테이너의 공유 디렉터리]
컨테이너는 볼륨을 컨테이너의 /root 디렉터리에 마운트하므로 /root 디렉터리에 파일을 쓰면 해당 파일이 볼륨에 저장된다.
# docker run -i -t --name myvolume_1 -v myvolume:/root/ ubuntu:14.04
echo hello, volume! >> /root/volume
같은 볼륨을 사용하여 또 다른 컨테이너를 생성한 후 , /root를 확인해본다.
# docker run -i -t --name myvolume_2 -v myvolume:/root/ ubuntu:14.04
볼륨을 컨테이너의 /root 디렉터리에 마운트되면서
hello, volume! 라고 뜬다
다음 명령어로 myvolume 볼륨이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알수 있다.
# docker inspect --type volume myvolume
/var/lib/docker/volumes/myvolume/_data 에 마운트된걸 확인할 수 있다.
컨테이너에 db를 같이쓰면 삭제하면 다삭제된다
도커에 볼륨을 만들어서 사용하므로서 따로 사용하게되어 db는 삭제되지 않는다.